사해행위취소·손해배상(기)

사건번호:

2019다250831, 250848

선고일자:

202202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사해행위취소소송에서 채무자의 무자력 여부를 판단할 때 압류금지재산을 적극재산에서 제외하여야 하는지 여부(적극) [2] 공무원연금법상 퇴직연금채권은 민사집행법 제246조 제1항 제4호에도 불구하고 그 전액에 관하여 압류가 금지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1] 민법 제406조 제1항 / [2] 공무원연금법 제39조 제1항, 민사집행법 제246조 제1항 제4호

참조판례

[1] 대법원 2005. 1. 28. 선고 2004다58963 판결(공2005상, 398) / [2] 대법원 2014. 1. 23. 선고 2013다71180 판결(공2014상, 480)

판례내용

【원고(반소피고), 상고인】 원고(반소피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혜민 외 1인) 【피고(반소원고), 피상고인】 피고(반소원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포럼 담당변호사 조보현) 【원심판결】 광주지법 2019. 6. 27. 선고 2018나57468, 59167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본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광주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채무자의 재산처분행위가 사해행위가 되기 위해서는 그 행위로 말미암아 채무자의 총재산의 감소가 초래되어 채권의 공동담보에 부족이 생기는 것, 즉 채무자의 소극재산이 적극재산보다 많아져야 하는 것인데, 적극재산을 산정함에 있어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실질적으로 재산적 가치가 없어 채권의 공동담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는 재산은 제외하여야 할 것이고, 압류금지재산은 공동담보가 될 수 없으므로 적극재산에 포함시켜서는 아니 된다(대법원 2005. 1. 28. 선고 2004다58963 판결 참조). 공무원연금법상 연금인 급여를 받을 권리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금융회사에 담보로 제공하거나 국세징수법, 지방세징수법, 그 밖의 법률에 따른 체납처분의 대상이 되는 외에 양도, 압류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없다(공무원연금법 제39조 제1항). 민사집행법은 제246조 제1항 제4호에서 퇴직연금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성질을 가진 급여채권은 그 1/2에 해당하는 금액만 압류하지 못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이는 공무원연금법상 압류금지 규정과의 사이에서 일반법과 특별법의 관계에 있으므로, 공무원연금법상 퇴직연금채권에 대하여는 그 전액에 관하여 압류가 금지된다고 보아야 한다(대법원 2014. 1. 23. 선고 2013다71180 판결 참조). 2. 원심은, 채무자인 소외인의 공무원연금법상 급여에 해당하는 퇴직연금일시금 및 퇴직수당 합계 250,403,030원 가운데 1/2에 해당하는 금액만이 민사집행법 제246조 제1항 제4호에 의하여 압류가 금지되는데, 이를 소외인의 적극재산에서 제외하더라도 적극재산이 소극재산을 초과하고, 달리 이 사건 근저당권설정계약 당시 소외인이 채무초과 상태에 있었다거나, 이 사건 근저당권설정계약으로 인하여 채무초과에 이르렀다고 인정할 증거가 없다며, 수익자인 피고(반소원고)에 대해 이 사건 근저당권설정계약 취소 및 원상회복으로 근저당권설정등기의 말소를 구하는 원고(반소피고)의 본소 청구를 기각하였다. 그러나 앞서 본 법리에 의하면 공무원연금법상 급여는 ‘전액’에 관하여 압류가 금지되는 것이므로, 이와 달리 1/2 부분에 관하여만 압류가 금지된다고 보아 소외인의 적극재산에서 압류가 금지되는 1/2 부분만을 제외한 결과 적극재산이 소극재산을 초과한다고 본 원심판단에는 사해행위취소에 있어 채무자의 무자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 중 본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민유숙(재판장) 조재연 이동원 천대엽(주심)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압류금지된 퇴직금, 빚 계산에 포함될까요? (무자력 기준)

압류금지된 퇴직금은 무자력(빚 > 재산) 판단 시 고려하지 않으므로, 빚 계산에 포함되지 않는다.

#압류금지#퇴직금#무자력#빚 계산

민사판례

빚 갚을 능력 없다는 게 정확히 뭔가요? 재산 있다고 다 되는 건 아니랍니다!

빚을 갚지 않으려고 재산을 빼돌리는 '사해행위'를 판단할 때, 채무자의 재산에 포함되는 부동산이나 채권은 실제로 돈으로 바꿀 수 있는 가치가 있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겉으로는 재산처럼 보여도 실제로는 돈이 되지 않는다면 빚을 갚을 담보로 쓸 수 없기 때문입니다.

#사해행위#재산가치 평가#채무자#부동산

민사판례

퇴직연금, 압류될 수 있을까? - 압류금지에 대한 법원의 판단

근로자의 퇴직연금은 전액 압류가 금지됩니다. 퇴직연금을 관리하는 금융기관은 압류명령이 와도 지급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퇴직연금#압류금지#전액보호#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민사판례

공사대금채권 압류, 사해행위일까? 알고보면 단순한 채권 양도?

빚진 사람(채무자)이 특정 채권자에게 빚을 갚는 대신, 채권자가 강제집행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공증 받은 문서를 작성해주고, 채권자가 이를 이용해 채무자의 다른 채권을 압류한 경우, 이것이 다른 채권자들에게 손해를 끼치는 사해행위인지, 만약 사해행위라면 어떻게 원상복구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채무를 부담하는 행위와 강제집행을 승낙하는 공정증서만으로 사해행위로 단정 지을 수는 없고, 채무자의 재산 상태와 채권의 가치 변동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강제집행#승낙#공정증서#채권압류

민사판례

퇴직연금도 압류금지? 회사 임원의 퇴직연금과 압류, 상계

회사 이사 등의 퇴직연금도 일반 근로자의 퇴직연금처럼 압류가 어려운 재산에 해당할 수 있으며, 압류할 채권을 표시할 때는 명확하게 기재해야 한다.

#퇴직연금#압류#이사#압류금지

민사판례

빚 갚을 재산 없애고 배우자에게 증여? 이것도 사해행위일까?

빚이 많은 사람이 유일한 재산인 아파트를 배우자에게 증여했는데, 이것이 채권자를 해하는 사해행위인지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사해행위가 되려면 채무자가 재산을 처분하면서 채권자에게 손해가 갈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 판례에서는 증여 당시 예상되는 빚이 아파트 가치에 비해 매우 적었던 점 등을 고려하여 사해행위로 단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사해행위#배우자 증여#채권자취소권#아파트